-
와이바이오로직스,독성 감소 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 특허 출원
플랫폼 기술 기반 항체신약 연구개발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독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형질전환증식인자(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SelecTrap)’에 대해 국내 특허를 출원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로 항암효과 크게 높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TGF-β 셀렉트랩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단백질 구조 모델링 기술을 통해 TGF-β 수용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엔지니어링해 제작한 물질이다. TGF-β 리간드(Ligand) 중, 저해할 경우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TGF-β2는 저해하지 않고, 종양 미세환경을 암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TGF-β1과 TGF-β3를 선택적으로 타깃해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때문에 TGF-β 셀렉트랩은 TGF-β 저해제로서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현저히 낮은 치료 물질로 기대된다. TGF-β는 대부분의 종양 미세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물질로, 종양의 전이 및 진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면역 억제 물질이다. TGF-β 저해제를 면역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경우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TGF-β 발현도가 높은 ‘면역 제외(Immune-Excluded)’ 종양은 고형암 중 가장 빈번히 발견되며 최근 각광받는 면역 항암제가 정복하지 못한 만큼 TGF-β 저해제 개발에 많은 바이오벤처가 뛰어들고 있다.그러나 TGF-β 저해제가 상용화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독성의 최소화가 꼽힌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이 오랜 기간 TGF-β 저해제의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효능 대비 후보물질의 독성이 높아 아직까지 상용화된 TGF-β 저해제 제품은 없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TGF-β 셀렉트랩에 대한 개발이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연구소장은 “TGF-β 셀렉트랩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여 T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최근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 효과를 보이는 CAR-T 또는 T세포 연계 이중항체도 고형암에서는 약효가 제한적인 만큼, TGF-β 셀렉트랩과 병용할 경우 고형암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이재승 의학전문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독성 감소 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 특허 출원
플랫폼 기술 기반 항체신약 연구개발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독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형질전환증식인자(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SelecTrap)’에 대해 국내 특허를 출원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로 항암효과 크게 높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TGF-β 셀렉트랩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단백질 구조 모델링 기술을 통해 TGF-β 수용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엔지니어링해 제작한 물질이다. TGF-β 리간드(Ligand) 중, 저해할 경우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TGF-β2는 저해하지 않고, 종양 미세환경을 암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TGF-β1과 TGF-β3를 선택적으로 타깃해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때문에 TGF-β 셀렉트랩은 TGF-β 저해제로서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현저히 낮은 치료 물질로 기대된다. TGF-β는 대부분의 종양 미세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물질로, 종양의 전이 및 진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면역 억제 물질이다. TGF-β 저해제를 면역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경우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TGF-β 발현도가 높은 ‘면역 제외(Immune-Excluded)’ 종양은 고형암 중 가장 빈번히 발견되며 최근 각광받는 면역 항암제가 정복하지 못한 만큼 TGF-β 저해제 개발에 많은 바이오벤처가 뛰어들고 있다.그러나 TGF-β 저해제가 상용화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독성의 최소화가 꼽힌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이 오랜 기간 TGF-β 저해제의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효능 대비 후보물질의 독성이 높아 아직까지 상용화된 TGF-β 저해제 제품은 없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TGF-β 셀렉트랩에 대한 개발이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연구소장은 “TGF-β 셀렉트랩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여 T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최근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 효과를 보이는 CAR-T 또는 T세포 연계 이중항체도 고형암에서는 약효가 제한적인 만큼, TGF-β 셀렉트랩과 병용할 경우 고형암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이재승 의학전문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독성 감소 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 특허 출원
플랫폼 기술 기반 항체신약 연구개발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독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형질전환증식인자(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SelecTrap)’에 대해 국내 특허를 출원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로 항암효과 크게 높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TGF-β 셀렉트랩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단백질 구조 모델링 기술을 통해 TGF-β 수용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엔지니어링해 제작한 물질이다. TGF-β 리간드(Ligand) 중, 저해할 경우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TGF-β2는 저해하지 않고, 종양 미세환경을 암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TGF-β1과 TGF-β3를 선택적으로 타깃해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때문에 TGF-β 셀렉트랩은 TGF-β 저해제로서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현저히 낮은 치료 물질로 기대된다. TGF-β는 대부분의 종양 미세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물질로, 종양의 전이 및 진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면역 억제 물질이다. TGF-β 저해제를 면역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경우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TGF-β 발현도가 높은 ‘면역 제외(Immune-Excluded)’ 종양은 고형암 중 가장 빈번히 발견되며 최근 각광받는 면역 항암제가 정복하지 못한 만큼 TGF-β 저해제 개발에 많은 바이오벤처가 뛰어들고 있다.그러나 TGF-β 저해제가 상용화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독성의 최소화가 꼽힌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이 오랜 기간 TGF-β 저해제의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효능 대비 후보물질의 독성이 높아 아직까지 상용화된 TGF-β 저해제 제품은 없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TGF-β 셀렉트랩에 대한 개발이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연구소장은 “TGF-β 셀렉트랩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여 T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최근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 효과를 보이는 CAR-T 또는 T세포 연계 이중항체도 고형암에서는 약효가 제한적인 만큼, TGF-β 셀렉트랩과 병용할 경우 고형암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이재승 의학전문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독성 감소 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 특허 출원
플랫폼 기술 기반 항체신약 연구개발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독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형질전환증식인자(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SelecTrap)’에 대해 국내 특허를 출원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로 항암효과 크게 높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TGF-β 셀렉트랩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단백질 구조 모델링 기술을 통해 TGF-β 수용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엔지니어링해 제작한 물질이다. TGF-β 리간드(Ligand) 중, 저해할 경우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TGF-β2는 저해하지 않고, 종양 미세환경을 암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TGF-β1과 TGF-β3를 선택적으로 타깃해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때문에 TGF-β 셀렉트랩은 TGF-β 저해제로서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현저히 낮은 치료 물질로 기대된다. TGF-β는 대부분의 종양 미세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물질로, 종양의 전이 및 진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면역 억제 물질이다. TGF-β 저해제를 면역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경우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TGF-β 발현도가 높은 ‘면역 제외(Immune-Excluded)’ 종양은 고형암 중 가장 빈번히 발견되며 최근 각광받는 면역 항암제가 정복하지 못한 만큼 TGF-β 저해제 개발에 많은 바이오벤처가 뛰어들고 있다.그러나 TGF-β 저해제가 상용화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독성의 최소화가 꼽힌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이 오랜 기간 TGF-β 저해제의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효능 대비 후보물질의 독성이 높아 아직까지 상용화된 TGF-β 저해제 제품은 없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TGF-β 셀렉트랩에 대한 개발이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연구소장은 “TGF-β 셀렉트랩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여 T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최근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 효과를 보이는 CAR-T 또는 T세포 연계 이중항체도 고형암에서는 약효가 제한적인 만큼, TGF-β 셀렉트랩과 병용할 경우 고형암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이재승 의학전문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독성 감소 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 특허 출원
플랫폼 기술 기반 항체신약 연구개발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독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형질전환증식인자(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SelecTrap)’에 대해 국내 특허를 출원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로 항암효과 크게 높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TGF-β 셀렉트랩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단백질 구조 모델링 기술을 통해 TGF-β 수용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엔지니어링해 제작한 물질이다. TGF-β 리간드(Ligand) 중, 저해할 경우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TGF-β2는 저해하지 않고, 종양 미세환경을 암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TGF-β1과 TGF-β3를 선택적으로 타깃해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때문에 TGF-β 셀렉트랩은 TGF-β 저해제로서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현저히 낮은 치료 물질로 기대된다. TGF-β는 대부분의 종양 미세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물질로, 종양의 전이 및 진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면역 억제 물질이다. TGF-β 저해제를 면역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경우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TGF-β 발현도가 높은 ‘면역 제외(Immune-Excluded)’ 종양은 고형암 중 가장 빈번히 발견되며 최근 각광받는 면역 항암제가 정복하지 못한 만큼 TGF-β 저해제 개발에 많은 바이오벤처가 뛰어들고 있다.그러나 TGF-β 저해제가 상용화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독성의 최소화가 꼽힌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이 오랜 기간 TGF-β 저해제의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효능 대비 후보물질의 독성이 높아 아직까지 상용화된 TGF-β 저해제 제품은 없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TGF-β 셀렉트랩에 대한 개발이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연구소장은 “TGF-β 셀렉트랩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여 T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최근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 효과를 보이는 CAR-T 또는 T세포 연계 이중항체도 고형암에서는 약효가 제한적인 만큼, TGF-β 셀렉트랩과 병용할 경우 고형암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이재승 의학전문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독성 감소 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 특허 출원
플랫폼 기술 기반 항체신약 연구개발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독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형질전환증식인자(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SelecTrap)’에 대해 국내 특허를 출원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로 항암효과 크게 높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TGF-β 셀렉트랩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단백질 구조 모델링 기술을 통해 TGF-β 수용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엔지니어링해 제작한 물질이다. TGF-β 리간드(Ligand) 중, 저해할 경우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TGF-β2는 저해하지 않고, 종양 미세환경을 암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TGF-β1과 TGF-β3를 선택적으로 타깃해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때문에 TGF-β 셀렉트랩은 TGF-β 저해제로서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현저히 낮은 치료 물질로 기대된다. TGF-β는 대부분의 종양 미세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물질로, 종양의 전이 및 진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면역 억제 물질이다. TGF-β 저해제를 면역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경우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TGF-β 발현도가 높은 ‘면역 제외(Immune-Excluded)’ 종양은 고형암 중 가장 빈번히 발견되며 최근 각광받는 면역 항암제가 정복하지 못한 만큼 TGF-β 저해제 개발에 많은 바이오벤처가 뛰어들고 있다.그러나 TGF-β 저해제가 상용화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독성의 최소화가 꼽힌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이 오랜 기간 TGF-β 저해제의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효능 대비 후보물질의 독성이 높아 아직까지 상용화된 TGF-β 저해제 제품은 없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TGF-β 셀렉트랩에 대한 개발이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연구소장은 “TGF-β 셀렉트랩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여 T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최근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 효과를 보이는 CAR-T 또는 T세포 연계 이중항체도 고형암에서는 약효가 제한적인 만큼, TGF-β 셀렉트랩과 병용할 경우 고형암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이재승 의학전문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독성 감소 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 특허 출원
플랫폼 기술 기반 항체신약 연구개발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독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형질전환증식인자(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SelecTrap)’에 대해 국내 특허를 출원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로 항암효과 크게 높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TGF-β 셀렉트랩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단백질 구조 모델링 기술을 통해 TGF-β 수용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엔지니어링해 제작한 물질이다. TGF-β 리간드(Ligand) 중, 저해할 경우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TGF-β2는 저해하지 않고, 종양 미세환경을 암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TGF-β1과 TGF-β3를 선택적으로 타깃해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때문에 TGF-β 셀렉트랩은 TGF-β 저해제로서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현저히 낮은 치료 물질로 기대된다. TGF-β는 대부분의 종양 미세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물질로, 종양의 전이 및 진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면역 억제 물질이다. TGF-β 저해제를 면역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경우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TGF-β 발현도가 높은 ‘면역 제외(Immune-Excluded)’ 종양은 고형암 중 가장 빈번히 발견되며 최근 각광받는 면역 항암제가 정복하지 못한 만큼 TGF-β 저해제 개발에 많은 바이오벤처가 뛰어들고 있다.그러나 TGF-β 저해제가 상용화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독성의 최소화가 꼽힌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이 오랜 기간 TGF-β 저해제의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효능 대비 후보물질의 독성이 높아 아직까지 상용화된 TGF-β 저해제 제품은 없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TGF-β 셀렉트랩에 대한 개발이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연구소장은 “TGF-β 셀렉트랩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여 T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최근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 효과를 보이는 CAR-T 또는 T세포 연계 이중항체도 고형암에서는 약효가 제한적인 만큼, TGF-β 셀렉트랩과 병용할 경우 고형암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이재승 의학전문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독성 감소 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 특허 출원
플랫폼 기술 기반 항체신약 연구개발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독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형질전환증식인자(TGF-β) 저해제 ‘TGF-β 셀렉트랩(SelecTrap)’에 대해 국내 특허를 출원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로 항암효과 크게 높일 것이라고 8일 밝혔다. TGF-β 셀렉트랩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단백질 구조 모델링 기술을 통해 TGF-β 수용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엔지니어링해 제작한 물질이다. TGF-β 리간드(Ligand) 중, 저해할 경우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TGF-β2는 저해하지 않고, 종양 미세환경을 암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TGF-β1과 TGF-β3를 선택적으로 타깃해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때문에 TGF-β 셀렉트랩은 TGF-β 저해제로서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현저히 낮은 치료 물질로 기대된다. TGF-β는 대부분의 종양 미세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물질로, 종양의 전이 및 진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면역 억제 물질이다. TGF-β 저해제를 면역 항암제와 병용 투여할 경우 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TGF-β 발현도가 높은 ‘면역 제외(Immune-Excluded)’ 종양은 고형암 중 가장 빈번히 발견되며 최근 각광받는 면역 항암제가 정복하지 못한 만큼 TGF-β 저해제 개발에 많은 바이오벤처가 뛰어들고 있다.그러나 TGF-β 저해제가 상용화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독성의 최소화가 꼽힌다.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이 오랜 기간 TGF-β 저해제의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효능 대비 후보물질의 독성이 높아 아직까지 상용화된 TGF-β 저해제 제품은 없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TGF-β 셀렉트랩에 대한 개발이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연구소장은 “TGF-β 셀렉트랩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여 T면역세포의 종양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최근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 효과를 보이는 CAR-T 또는 T세포 연계 이중항체도 고형암에서는 약효가 제한적인 만큼, TGF-β 셀렉트랩과 병용할 경우 고형암에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이재승 의학전문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SCO서 국내 첫 PD-1 항체 'YBL-006' 임상1상 결과 공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규모의 종양학회 ESMO에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총 67명의 다양한 고형암 환자 중 52명에게서 효능을 평가해 객관적 반응률(ORR) 15.4%, 완전 반응(CR) 1건과 부분 반응 7건(PR)이 포함됐다. 12개월이 지난 후에도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 2명에게서 지속적인 반응이 관찰됐으며, 응답 기간의 중앙값은 4.9주였다.약동학 연구를 위한 환자군을 제외한 유효성 확인을 위한 특별 관심 대상 암종의 환자군에서는 ORR이 19.4%로 나타났다. 참여한 환자 중 바이오마커 분석이 가능했던 환자군은 32명이었으며, 바이오마커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ORR은 62.5%로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의 ORR인 8.3%와 비교해 높은 것이 확인됐다.YBL-006은 국내 첫 PD-1 항체 면역항암제다. PD-1은 1992년 기전이 발견된 후 2015년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나오면서 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품목 허가받은 제품은 10종에 불과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주요 국제 암 학회인 ASCO에서 국내 최초의 PD-1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남은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