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바이오 새먹거리 떠오른 '이중항체'
이중항체 플랫폼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과 중소 바이오사들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항체는 단일클론항체와 달리 두 가지 항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체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중항체 항암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80억원 규모의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를 유치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지난달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ABL603'을 발표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위암과 췌장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CD3을 동시에 표적한다. Claudin18.2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종양미세환경은 암세포가 증식하고 진화하는 총체적인 환경을 일컫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중소 바이오사다. 글로벌 CDMO 업체들도 위탁개발(CDO)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인 '에스듀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중항체를 개발하면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CDMO 1위 론자도 올해 초 이중항체 플랫폼 'bYlok'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출처: 매일경제(https://www.mk.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 -
와이바이오로직스, 장우익 대표이사 선임…각자 대표 체제 전환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항체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 온 장우익 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장 대표는 연세대 의과대학을 졸업,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후 한국릴리, 한국MSD 의학담당 부사장과 한독 연구개발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차병원그룹 종합연구원장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에 합류했다. 장 대표는 면역항암제 임상 연구개발을 비롯한 경영을 총괄하며 그 역량을 강화하고 창업자인 박영우 대표는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신약 개발 전문 플랫폼 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Ymax-ABL과 T세포 이중항체 플랫폼 AliCE를 확보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7월 유럽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 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했다. 이에 앞선 2020년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킨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면역항암제 YBL-006은 호주와 한국 등에서 글로벌 1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들을 토대로 허가 가능성이 높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2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출처: 메디컬투데이(https://mdtoday.co.kr/)
Read More